이전 가이드 문서에서 dashboard를 제대로 가져왔다면 아래의 그림처럼 보일 것입니다.
이전 가이드 문서 정보입니다.
https://dirt-spoon.tistory.com/88
저와 그림이 다른 이유는 해당 장비의 인터페이스 수에 맞게 그래프가 보여서 입니다.
이 중에 인터페이스를 하나 선택합니다.
Click 후 Edit 선택 (캡쳐를 하려고 하니 팝업 매뉴가 계속 사라져서 안되네요 ㅠㅠ)
표시한 쿼리를 수정하여 내가 원하는 것으로 쿼리를 수정하겠습니다.
해당 쿼리를 복사하여 prometheus의 graph 매뉴로 이동합니다.
복사했던 쿼리를 수정합니다.
irate(ifHCInOctets{job='snmp',instance='$Device',ifDescr=~'$Interface'}[5m])
해당 로그를 아래와 같이 수정해 봅니다.
쿼리는 먼저 가장 단순히 조회를 해보고, 정상적으로 쿼리가 된다면 하나씩 옵션을 넣으시면 됩니다.
ifHCInOctets{job='snmp',instance='192.168.10.2'}
필드 값은 솔직히 정확하게 저도 잘 모릅니다.
많은 템플릿을 불러와서 그래프를 보고 이해하여야 합니다.
ifHCInOctets는 현재 들어오고 있는 트래픽의 전송량으로 보입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다운로드)
반대로 ifHCOutOctets은 현재 나가는 트래픽의 전송량으로 보입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업로드)
쿼리를 넣고 실행시켜 봅니다.
아래와 같이 보인다면 이제 끝이 보이는 겁니다.
아래처럼 그래프 버튼을 누르면 그림으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제 프로메테우스에서 하나의 그래패를 추가해 보겠습니다.
아래의 그림처럼 빨간 네모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래프가 정상적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 상단 "←"를 눌러 뒤로 가면, 방금 전에 추가한 그래프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프로메테우스로 네트워크 트래픽량을 그림으로 표시할 수가 있습니다만...
너무 못 생겼네요.
다음 글에 제가 사용 중인 쿼리 하나를 공개하겠습니다.
'기술 노트 > grafa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라파나 그래프 그리기 (ifHCInOctets) (0) | 2023.04.12 |
---|---|
그라파나 설정 (snmp) (0) | 2023.04.10 |
그라파나 설정 (promethues) (0) | 2023.04.10 |
그라파나 설치하기 (0) | 2023.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