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하여 글 남깁니다.

 

현재 사용 중인 버전은 proxmox 8.2 버전으로 i915-sriov-dkms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커널버전을 6.5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를 해야 합니다.

이걸로 몇날 몇일을 고생한...

 

proxmox 8.2 버전의 커널은 6.8 버전입니다. 6.5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 시켜주세요.

 

아래 명령어 실행 시 1개만 보이면 패스스루 안된겁니다.

커널 다운그레이드 해야 합니다.

root@13500T:~# lspci | grep VGA
00:02.0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root@13500T:~#

아래 처럼 보여야 합니다.

root@13500T:~# lspci | grep VGA
00:02.0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00:02.1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00:02.2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00:02.3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00:02.4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00:02.5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00:02.6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00:02.7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root@13500T:~#

 

커널 6.5 버전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apt repository에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여 추가 해야 합니다.

(파일의 맨 아래 것만 있으면 될 것 같은데, 확실하지 않아서 제 파일 내용 그대로 공유합니다.)

root@13500T:~# cat /etc/apt/sources.list
deb http://ftp.kr.debian.org/debian bookworm main contrib

deb http://ftp.kr.debian.org/debian bookworm-updates main contrib

# security updates
deb http://security.debian.org bookworm-security main contrib

deb http://download.proxmox.com/debian/pve bookworm pve-no-subscription

root@13500T:~#

 

아래 명령어를 통해 커널버전 신규로 설치하고 pin을 통해 변경되지 않도록 해줍니다.

apt update
apt install proxmox-headers-6.5.13-6-pve
apt install proxmox-kernel-6.5.13-6-pve-signed
proxmox-boot-tool kernel pin 6.5.13-6-pve
proxmox-boot-tool refresh
reboot

 

재부팅 후 i915-sriov-dkms를 빌드하기 위한 패키지들을 설치해줍니다.

apt update && apt install git sysfsutils pve-headers mokutil -y

 

dkms 저장소를 가져와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cd ~
git clone https://github.com/strongtz/i915-sriov-dkms.git
cd ~/i915-sriov-dkms
cp -a ~/i915-sriov-dkms/dkms.conf{,.bak}
sed -i 's/"@_PKGBASE@"/"i915-sriov-dkms"/g' ~/i915-sriov-dkms/dkms.conf
sed -i 's/"@PKGVER@"/"'"$KERNEL"'"/g' ~/i915-sriov-dkms/dkms.conf
sed -i 's/ -j$(nproc)//g' ~/i915-sriov-dkms/dkms.conf
cat ~/i915-sriov-dkms/dkms.conf

PACKAGE_NAME="i915-sriov-dkms"
PACKAGE_VERSION="6.5.13-6" <- 해당 라인에 커널 버전이 아닌 날짜가 나와있다면 수동으로 변경 필요

MAKE[0]="make -C ${kernel_source_dir} M=${dkms_tree}/${PACKAGE_NAME}/${PACKAGE_VERSION}/build"
CLEAN="make -C ${kernel_source_dir} M=${dkms_tree}/${PACKAGE_NAME}/${PACKAGE_VERSION}/build clean"

BUILT_MODULE_NAME[0]="i915"
DEST_MODULE_LOCATION[0]=/kernel/drivers/gpu/drm/i915

AUTOINSTALL=yes
BUILD_EXCLUSIVE_KERNEL="^(6\.[1-9]\.)"
apt install --reinstall dkms -y
dkms add .
dkms install -m i915-sriov-dkms -v $KERNEL -k $(uname -r) --force -j 1
mokutil --import /var/lib/dkms/mok.pub

 

GRUB 구성 변경 합니다

cp -a /etc/default/grub{,.bak}
sudo sed -i '/^GRUB_CMDLINE_LINUX_DEFAULT/c\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intel_iommu=on iommu=pt i915.enable_guc=3 i915.max_vfs=7"' /etc/default/grub
update-grub
update-initramfs -u -k all
apt install sysfsutils -y
echo "devices/pci0000:00/0000:00:02.0/sriov_numvfs = 7" > /etc/sysfs.conf
cat /etc/sysfs.conf

 

재부팅이 필요하며, 콘솔 모니터를 연결하여 설정 변경이 필요합니다.

 

Enroll MOK -> Continue -> YES 순으로 누르고 Reboot 실행합니다.

 

재부팅 된 후 아래 명령어를 통해 처음과 같이 한 줄이 아닌 여러 줄이 보이면 성공입니다.

root@13500T:~# lspci | grep VGA
00:02.0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00:02.1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00:02.2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00:02.3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00:02.4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00:02.5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00:02.6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00:02.7 VGA compatible controller: Intel Corporation AlderLake-S GT1 (rev 0c)
root@13500T:~#

 

웹 콘솔화면에서 필요한 VM에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하신 후 Windows의 경우 RDP를 통하여 접속하시면 내장그래픽 카드의 패스스루가 성공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 처럼 삽질하지 마시고, 한번에 성공하시기 바랍니다.

'기술 노트 > proxmo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부 네트워크 추가하기  (0) 2024.10.11
GNS3 설치하기  (1) 2024.10.05
macOS 설치하기  (1) 2024.09.26
fortigate VM 설치하기  (0) 2024.05.21
xpenology 설치하기  (1) 2024.05.10

윈도우즈가 stardard이면 아래처럼 하시면 됩니다.

 

slmgr.vbs -rearm

 

서버 재시작 후 오른쪽 하단을 보시면 아래와 같이 문구가 변경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AD에 JOIN 후 프로그램 설치나, 이전 계정의 폴더를 접속하려고 하니 계속 계정 정보를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이럴 경우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하면 해당 이슈 해결됩니다.

 

 

설정 이유 컴퓨터를 재시작하거나 "gpupdate /force" 명령어를 적용해 주세요

'기술 노트 > AD-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rm 명령어  (0) 2024.01.19
AD에서 파일 배포 하기  (0) 2023.07.31
AD 계정 정책 설정이 실제와 다를 때  (0) 2023.07.21
AD 암호정책 적용 시 고려사항  (0) 2023.07.20
AD 관리 콘솔 만들기  (0) 2023.07.07

회사에서 fortigate를 사용하고 있다면, 개인 계정으로도 support.fortinet.net에 가입하면 "FortiGate VM Trial" free license 버전을 제공받아 설치할 수 있습니다. (개인계정으로는 안 해 봤어요! ㅎㅎ)

(이 좋은 걸 몰랐네요!!)

 

그래서 proxmox에 fortigate를 올려보겠습니다.

 

FORTIGATE VM 다운로드하기

support.fortinet.com 로그인 → Firmware Download → 원하는 버전 클릭!

 

저는 해당 글 작성하는 기준으로 가장 최신 버전으로 다운로드를 받았습니다.

(이상하게 계속 다운로드 오류가 발생해서 7.4.3 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았습니다!!)

 

이미지 다운로드 후 proxmox 서버에 올리기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

이름 변경한 이미지

 

어이 없게~ 확장자 바꾼다고 이미지로 올라갑니다!!

업로드된 이미지를 원래의 이름으로 변경하고 root 계정에 옮겨 놓습니다.

(proxmox에 파일 올리기 참 쉽죠~~)

 

VM 생성

Trial Version은 CPU가 1개만 지원하네요.

Trial Version은 Memory가 2048MB만 지원하네요.

 

VM 디스크 분리 및 삭제하기 (용량 아까워서)

 

"Detch" Click

 

"Remove" Click

 

VM에 fortigate 디스크 붙이기

생성한 fortigate vm의 "VM ID" 확인 (저는 900 입니다.)

root@my-data:~# qm disk import
400 not enough arguments
qm disk import <vmid> <source> <storage> [OPTIONS]

root@my-data:~# qm disk import 900 fortios.qcow2 local-zfs

# 900 <vmid>
# fortios.qcow2 <source>
# local-zfs <storage> <- 내가 설치한 파일시스템입니다.

 

"Edit" Click

 

"Add" Click

 

부팅 순서 변경하기

"Boot Order" Click

 

"scsi0" 으로 변경

"OK" Click

 

VM시작하기

 

로그인 하기

ID: admin

PW: 없음

 

IP 확인하기

FortiGate-VM64-KVM # show system interface ?

# 명령어 치면 DHCP로 설정된 IP 확인할 수 있습니다.

 

VM License 삭제하기

support.fortinet.com 로그인 → Products → Product List

※ FortiGate VM Trial VM이 이미 등록되어 있으면, 인증 오류 발생. (Trial VM은 1대만 가능)

※ 이미 등록 되어 있는 VM은 삭제

FortiGate VM Trial 의 "SERIAL NUMBER" Click

 

"Decommission This Unit" Click

"Check Box" Check 후 "Continue" Click

Trial VM 삭제 완료

 

위에서 설정한 ID/PW로 웹 페이지 접속

 

"Evaluation License" Click

support.fortinet.com의 ID/PW 입력

 

rebooting 후 웹페이지 재접속

 

드디어 설치가 끝!! 났네요.

 

역시 기록을 하니 복습이 되어 지식이 느네요~

 

이 후 부터는 알아서 하시리라 생각하겠습니다.

지식 없이 fortigate를 설치할 생각은 안 하실테니까요!!!

'기술 노트 > proxmo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부 네트워크 추가하기  (0) 2024.10.11
GNS3 설치하기  (1) 2024.10.05
macOS 설치하기  (1) 2024.09.26
내장그래픽 패스스루 하기  (0) 2024.09.08
xpenology 설치하기  (1) 2024.05.10

최신 우분투에는 ufw가 기본인데, 기존 OS에는 없는 곳도 있군요.

ufw를 사용하는 방법 공유합니다.

 

[root@mydata ~]# ufw
-bash: ufw: command not found
[root@mydata ~]# uname -a
Linux mydata 3.10.0-957.12.2.el7.x86_64 #1 SMP Tue May 14 21:24:32 UTC 2019 x86_64 x86_64 x86_64 GNU/Linux
[root@mydata ~]#
[root@mydata ~]#
[root@mydata ~]# cat /etc/redhat-release
CentOS Linux release 7.6.1810 (Core)
[root@mydata ~]# yum install ufw
Loaded plugins: fastestmirror, langpacks
Determining fastest mirrors
epel/x86_64/metalink                                                                                                                                                           | 5.6 kB  00:00:00
 * base: mirror.navercorp.com
 * epel: ftp.riken.jp
 * extras: mirror.navercorp.com
 * updates: mirror.navercorp.com
base                                                                                                                                                                           | 3.6 kB  00:00:00
epel                                                                                                                                                                           | 4.3 kB  00:00:00
extras                                                                                                                                                                         | 2.9 kB  00:00:00
ius                                                                                                                                                                            | 1.3 kB  00:00:00
mysql-connectors-community                                                                                                                                                     | 2.6 kB  00:00:00
mysql-tools-community                                                                                                                                                          | 2.6 kB  00:00:00
mysql56-community                                                                                                                                                              | 2.6 kB  00:00:00
updates                                                                                                                                                                        | 2.9 kB  00:00:00
(1/8): extras/7/x86_64/primary_db                                                                                                                                              | 253 kB  00:00:00
(2/8): ius/x86_64/primary                                                                                                                                                      |  40 kB  00:00:00
(3/8): mysql-connectors-community/x86_64/primary_db                                                                                                                            | 114 kB  00:00:00
(4/8): epel/x86_64/group                                                                                                                                                       | 399 kB  00:00:00
(5/8): mysql-tools-community/x86_64/primary_db                                                                                                                                 |  98 kB  00:00:00
(6/8): updates/7/x86_64/primary_db                                                                                                                                             |  27 MB  00:00:00
(7/8): epel/x86_64/updateinfo                                                                                                                                                  | 1.0 MB  00:00:01
(8/8): epel/x86_64/primary_db                                                                                                                                                  | 8.7 MB  00:00:05
ius                                                                                                                                                                                           159/159
Resolving Dependencies
--> Running transaction check
---> Package ufw.noarch 0:0.35-9.el7 will be installed
--> Finished Dependency Resolution

Dependencies Resolved

======================================================================================================================================================================================================
 Package                                      Arch                                            Version                                             Repository                                     Size
======================================================================================================================================================================================================
Installing:
 ufw                                          noarch                                          0.35-9.el7                                          epel                                          220 k

Transaction Summary
======================================================================================================================================================================================================
Install  1 Package

Total download size: 220 k
Installed size: 905 k
Is this ok [y/d/N]: y
Downloading packages:
ufw-0.35-9.el7.noarch.rpm                                                                                                                                                      | 220 kB  00:00:00
Running transaction check
Running transaction test
Transaction test succeeded
Running transaction
  Installing : ufw-0.35-9.el7.noarch                                                                                                                                                              1/1
  Verifying  : ufw-0.35-9.el7.noarch                                                                                                                                                              1/1

Installed:
  ufw.noarch 0:0.35-9.el7

Complete!
[root@mydata ~]#

'기술 노트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9 절전모드 해제  (0) 2023.02.15

네이버클라우드에서 Platform의 "Classic" 버전은 outbound 정책 설정이 없네요.

(제가 못 찾는 거라면, 방법 좀 알려주세요~)

 

대체방안으로 linux의 iptables로 해봤는데, 양방향 설정이 아니라 너무 어렵더라구요.

그래서 ufw 서비스를 활용해 보려고 합니다.

 

[작업 근거]

인증기준: ISMS 인증 2.6.2 정보시스템 접근

ㅇ 주요 확인사항

서버, 네트워크시스템 등 정보시스템에 접근을 허용하는 사용자, 접근제한 방식, 안전한
접근수단 등을 정의하여 통제하여야 한다.

  - 정보시스템의 사용목적과 관계 없는 서비스를 제거하고 있는가?

 

 

설정은 모든 outbound는 차단하고, dns Port만 Open 했습니다.

아래처럼 한다면 inbound 정책은 전부 허용, oubound 정책은 dns 53 제외 전부 차단 됩니다.

root@mydata:~# ufw disable
root@mydata:~# ufw default deny outgoing
root@mydata:~# ufw allow out to any port 53
root@mydata:~# ufw enable

 

통신 테스트 화면

root@mydata:~# ufw status verbose
Status: active
Logging: on (low)
Default: allow (incoming), deny (outgoing), disabled (routed)
New profiles: skip

To                         Action      From
--                         ------      ----
53                         ALLOW OUT   Anywhere

root@mydata:~#
root@mydata:~#
root@mydata:~#
root@mydata:~#
root@mydata:~#
root@mydata:~# curl www.naver.com
^C
root@mydata:~# ufw allow out to any port 80
Rule added
Rule added (v6)
root@mydata:~# ufw status verbose
Status: active
Logging: on (low)
Default: allow (incoming), deny (outgoing), disabled (routed)
New profiles: skip

To                         Action      From
--                         ------      ----
53                         ALLOW OUT   Anywhere
80                         ALLOW OUT   Anywhere
80 (v6)                    ALLOW OUT   Anywhere (v6)

root@mydata:~# curl www.naver.com
<html>
<head><title>302 Found</title></head>
<body>
<center><h1>302 Found</h1></center>
<hr><center> NWS </center>
</body>
</html>
root@mydata:~#

 

사용명령어 예제

[root@mydata ~]# ufw allow out to 1.1.1.1
[root@mydata ~]# ufw status numbered
[root@mydata ~]# ufw status verbose
[root@mydata ~]# ufw delete 2
[root@mydata ~]# ufw delete 2
[root@mydata ~]# ufw allow from 1.1.1.1
[root@mydata ~]# ufw allow 8080
[root@mydata ~]# ufw allow out to any port 80
[root@mydata ~]# ufw default allow incoming
[root@mydata ~]# ufw default deny outgoing

'기술 노트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ache2에 https 적용하기  (0) 2025.04.11
ansible 설치하기  (2) 2024.11.20
influxdb.conf 설정 파일  (0) 2024.03.18
influxdb v1으로 설치하기  (0) 2024.03.18
influxdb v1 설치 후 telegraf 연동하기  (0) 2024.03.18

최근 미니 PC를 구매하게되었고, 미니 PC에 proxmox를 설치하여 vm에 xpenology를 설치해봤습니다.

설명은 많이 넣지 않고, 따라하기 식으로 캡쳐화면 첨부합니다~

저 처럼 어느정도 IT 기술을 알고 계신 분들만 xpenology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무조건 정품이 최고입니다.

 

※ 내용 업데이트 됨.

VM 생성 시 디스크를 1개가 아닌 2개로 설정하셔야 합니다. 1TB 설정 시 500GB 2개로 설정 하세요.

 

부트로더 다운로드

시놀로지를 설치하기 위한 OS 부팅 이미지입니다.

별도로 설정이 필요하더군요.

 

아래는 이미지 출처입니다.

최신 버전으로 다운받으시면 좋을 것 같아요.

https://github.com/RROrg/rr/releases

 

Releases · RROrg/rr

Redpill Recovery (arpl-i18n). Contribute to RROrg/r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proxmox shell 실행 후

root@my-data:~# wget https://github.com/RROrg/rr/releases/download/24.5.1/rr-24.5.1.img.zip

root@my-data:~# ls
rr-24.5.1.img.zip
# unzip이 안된다면 apt install -y unzip으로 unzip 설치 필요
root@my-data:~# unzip ./rr-24.5.1.img.zip 
Archive:  ./rr-24.5.1.img.zip
  inflating: rr.img                  
root@my-data:~# ls -al | grep rr
-rw-r--r--  1 root root  488160567 May  4 10:04 rr-24.5.1.img.zip
-rw-r--r--  1 root root 3759144960 May  4 10:02 rr.img
root@my-data:~# mkdir xpenology
root@my-data:~# mv ./rr.img ./xpenology
root@my-data:~# ls -al ./xpenology/
total 990130
drwxr-xr-x 2 root root          3 May 10 12:30 .
drwx------ 5 root root         21 May 10 12:26 ..
-rw-r--r-- 1 root root 3759144960 May 10 11:56 rr.img
root@my-data:~#

 

VM 생성

 

※ 디스크 생성 시 2개로 생성하시면 추후에 디스크가 없다는 메시지가 발생하지 않아요. NAS가 레이드 때문에 디스크 1개로는 오류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1TB 설정 시 512GB 2개의 디스크로 설치하세요. 아래 사진은 수정한 사진입니다.

 

VM 생성 후 부트로더 이미지 지정

생성된 VM ID 확인: 저는 200 입니다.

root@my-data:~# vi /etc/pve/qemu-server/200.conf
### 아래출 추가 ###
args: -drive 'if=none,id=synoboot,format=raw,file=/root/xpenology/rr.img' -device 'qemu-xhci,addr=0x18' -device 'usb-storage,drive=synoboot,bootindex=5'
### 변경 전 200.conf 내용
boot: order=sata0;ide2;net0
cores: 4
cpu: x86-64-v2-AES
ide2: none,media=cdrom
machine: q35
memory: 16384
meta: creation-qemu=8.1.5,ctime=1715311083
name: xpenology
net0: virtio=BC:24:11:6F:22:EE,bridge=vmbr0,firewall=1
numa: 0
ostype: l26
sata0: local-zfs:vm-200-disk-0,cache=unsafe,discard=on,size=1536G
scsihw: virtio-scsi-single
smbios1: uuid=cdbaebea-f8b1-4610-b4a2-3e06f76b113b
sockets: 1
tags: nas
vga: virtio
vmgenid: a763f19f-d1c1-4bf4-ba7e-54c11a123031
root@my-data:~# 
root@my-data:~# cat /etc/pve/qemu-server/200.conf 
args: -drive 'if=none,id=synoboot,format=raw,file=/root/xpenology/rr.img' -device 'qemu-xhci,addr=0x18' -device 'usb-storage,drive=synoboot,bootindex=5'
boot: order=sata0;ide2;net0
cores: 4
cpu: x86-64-v2-AES
ide2: none,media=cdrom
machine: q35
memory: 16384
meta: creation-qemu=8.1.5,ctime=1715311083
name: xpenology
net0: virtio=BC:24:11:6F:22:EE,bridge=vmbr0,firewall=1
numa: 0
ostype: l26
sata0: local-zfs:vm-200-disk-0,cache=unsafe,discard=on,size=1536G
scsihw: virtio-scsi-single
smbios1: uuid=cdbaebea-f8b1-4610-b4a2-3e06f76b113b
sockets: 1
tags: nas
vga: virtio
vmgenid: a763f19f-d1c1-4bf4-ba7e-54c11a123031
root@my-data:~#

 

VM 실행

화면에 표시된 IP로 접속 시도: http://192.168.0.37:7681

 

Xpenology 설정

 

저는 DS920+로 설치했습니다.

실행하시면, 아래의 화면처럼 보입니다. 그대로 계속 기다리면 됩니다.

캡쳐 하나를 놓쳤네요 ㅠㅠ

그냥 현재의 메뉴에서 엔터 치시면 아래의 화면처럼 나옵니다.

자동으로 10초 후에 재부팅이 됩니다.

재부팅 완료된 이후에 아래의 화면처럼 "Press to Reconnect"가 뜨면 아래의 URL로 접속하시면 됩니다.

http://192.168.0.37:5000

 

synology 설정: 디스크가 없다면

※ 위에서 말한 디스크 1개로 설치할 경우 현재의 이슈가 발생합니다. 디스크 셋팅 시 2개로 설정 해주세요!

 

synology 설정: 디스크가 있다면

 

 

이후에는 일반적인 Synology 설정이라 여기서 줄입니다~~~

설치 완료 후 Synology의 정보에서 스펙은 DS920+에서 지원하는 CPU로 보이지만, 성능은 실제 CPU의 성능으로 작동됩니다.

'기술 노트 > proxmo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부 네트워크 추가하기  (0) 2024.10.11
GNS3 설치하기  (1) 2024.10.05
macOS 설치하기  (1) 2024.09.26
내장그래픽 패스스루 하기  (0) 2024.09.08
fortigate VM 설치하기  (0) 2024.05.21

참고하려고 남겨둡니다.

# Meta 데이터 저장할 위치 지정.
[meta]
  # Where the metadata/raft database is stored
  dir = "/var/lib/influxdb/meta"
 
# 실제 데이터를 저장할 디렉토릴 지정.
[data]
  # The directory where the TSM storage engine stores TSM files.
  dir = "/var/lib/influxdb/data"
 
  # The directory where the TSM storage engine stores WAL files.
  wal-dir = "/var/lib/influxdb/wal"
 
# Clustering 서비스 설정 통제
[coordinator]
  write-timeout = "10s"  # write request 가 기다릴시간. 이 시간이 지나면 에러 리턴
  max-concurrent-queries = 0  # 최대 동시 쿼리 개수. 0 은 unlimited.
  query-timeout = "0"  # 시스템이 kill 하기전에 쿼리 수행허용 시간
  log-queries-after = "0s" # slow 쿼리를 기록할 한계시간. 0 은 slow 쿼리 로깅을 하지 않음.
  max-select-point = 0
  max-select-series = 0
  max-select-buckets = 0
 
# 데이터 보관기간 설정.
[retention]
  enabled = true # 설정 사용함.
  check-interval = "30m" # 보관기간 정책 체크할 인터발 시간. 30분에 한번씩 보관기간 정책 체크.
 
# 모니터링 데이터를 위한 내부 데이터베이스 생성 설정.
[monitor]
  store-enabled = true # 내부 데이터베이스 생성 활성화.
  store-database = "_internal" # 저정할 데이터베이스 이름
  store-interval = "10s" # 10마다 통계치를 저장.
 
# Web 기반 관리자 페이지 설정
[admin]
  enabled = true
  bind-address = ":8083"
  https-enabled = false
  https-certificate = "/etc/ssl/influxdb.pem"
 
# HTTP 엔드포인트 설정. 이것은 InfluxDB 에서 데이터를 넣고 빼는데 핵심이 되는 매커니즘이다.
[http]
  enabled = true
  bind-address = ":8086"
  auth-enabled = true
  log-enabled = true
  write-tracing = false
  pprof-enabled = false # 트러블슈팅이나 모니터링에 사용함.
  https-enabled = false
  https-certificate = "/etc/ssl/influxdb.pem"
  ### Use a separate private key location.
  # https-private-key = ""
  max-row-limit = 10000
  realm = "InfluxDB"
 
# 사용하지 않음.
[[graphite]]
  enabled = false
 
# 사용하지 않음.
[[collectd]]
  enabled = false
 
# 사용하지 않음.
[[opentsdb]]
  enabled = false
 
# 사용하지 않음.
[[udp]]
  enabled = false
 
# 지속적인 쿼리. 이 기능은 아주 유용한데, 일단 활성화를 해둔다.
[continuous_queries]
  enabled = true
  log-enabled = true
  run-interval = "5s"

'기술 노트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sible 설치하기  (2) 2024.11.20
ufw 사용 방법  (2) 2024.05.13
influxdb v1으로 설치하기  (0) 2024.03.18
influxdb v1 설치 후 telegraf 연동하기  (0) 2024.03.18
MIB search path: mibs  (0) 2024.03.15

influxdb v2로 설치하니, 그라파나에서 쿼리를 코딩처럼 해야되더군요.

prometheus에 비해 쿼리 작성이 너무 어려워서... 한번 influxdb v1으로 설치해 봅니다.

 

root@syslogserver:~# apt install influxdb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완료
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니다... 완료
다음 새 패키지를 설치할 것입니다:
  influxdb
0개 업그레이드, 1개 새로 설치, 0개 제거 및 5개 업그레이드 안 함.
0 바이트/54.4 M바이트 아카이브를 받아야 합니다.
이 작업 후 153 M바이트의 디스크 공간을 더 사용하게 됩니다.
Selecting previously unselected package influxdb.
(데이터베이스 읽는중 ...현재 329680개의 파일과 디렉터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Preparing to unpack .../influxdb_1.8.10-1_amd64.deb ...
Unpacking influxdb (1.8.10-1) ...
influxdb (1.8.10-1) 설정하는 중입니다 ...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influxd.service → /lib/systemd/system/influxdb.service.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multi-user.target.wants/influxdb.service → /lib/systemd/system/influxdb.service.
Processing triggers for man-db (2.10.2-1) ...
root@syslogserver:~#

'기술 노트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fw 사용 방법  (2) 2024.05.13
influxdb.conf 설정 파일  (0) 2024.03.18
influxdb v1 설치 후 telegraf 연동하기  (0) 2024.03.18
MIB search path: mibs  (0) 2024.03.15
influxdb org 확인 하기  (0) 2024.03.15

telegraf -> influxdb -> grafana 연동을 해보려고 작성해 봤습니다.

root@syslogserver:~# influx
Connected to http://localhost:8086 version 1.8.10
InfluxDB shell version: 1.8.10
> show databases
name: databases
name
----
_internal
> create database telegrafdb
> create user telegraf with password 'password0'
>
> grant all on telegrafdb to telegraf
> show databaes
ERR: error parsing query: found databaes, expected CONTINUOUS, DATABASES, DIAGNOSTICS, FIELD, GRANTS, MEASUREMENT, MEASUREMENTS, QUERIES, RETENTION, SERIES, SHARD, SHARDS, STATS, SUBSCRIPTIONS, TAG, USERS at line 1, char 6
Warning: It is possible this error is due to not setting a database.
Please set a database with the command "use <database>".
> show databases
name: databases
name
----
_internal
telegrafdb
> quit
root@syslogserver:~#
root@syslogserver:~# vi /etc/telegraf/telegraf.conf

#[[outputs.influxdb]]
  ## The full HTTP or UDP URL for your InfluxDB instance.
  ##
  ## Multiple URLs can be specified for a single cluster, only ONE of the
  ## urls will be written to each interval.
  # urls = ["unix:///var/run/influxdb.sock"]
  # urls = ["udp://127.0.0.1:8089"]
  urls = ["http://192.168.000.000:8086"]

  ## The target database for metrics; will be created as needed.
  ## For UDP url endpoint database needs to be configured on server side.
  database = "telegrafdb"

  ## The value of this tag will be used to determine the database.  If this
  ## tag is not set the 'database' option is used as the default.
  # database_tag = ""

  ## If true, the 'database_tag' will not be included in the written metric.
  # exclude_database_tag = false

  ## If true, no CREATE DATABASE queries will be sent.  Set to true when using
  ## Telegraf with a user without permissions to create databases or when the
  ## database already exists.
  # skip_database_creation = false

  ## Name of existing retention policy to write to.  Empty string writes to
  ## the default retention policy.  Only takes effect when using HTTP.
  retention_policy = ""

  ## The value of this tag will be used to determine the retention policy.  If this
  ## tag is not set the 'retention_policy' option is used as the default.
  # retention_policy_tag = ""

  ## If true, the 'retention_policy_tag' will not be included in the written metric.
  # exclude_retention_policy_tag = false

  ## Write consistency (clusters only), can be: "any", "one", "quorum", "all".
  ## Only takes effect when using HTTP.
  # write_consistency = "any"

  ## Timeout for HTTP messages.
  timeout = "5s"

  ## HTTP Basic Auth
  username = "telegraf"
  password = "password0"

 

이후 그라파나의 Data source 추가를 influxdb로 하시면 됩니다.

'기술 노트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fluxdb.conf 설정 파일  (0) 2024.03.18
influxdb v1으로 설치하기  (0) 2024.03.18
MIB search path: mibs  (0) 2024.03.15
influxdb org 확인 하기  (0) 2024.03.15
telegraf 설정하기  (0) 2024.03.15

+ Recent posts